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가 부채 상위국가와 하위국가 :WEF

발표된지 조금 되었지만 WEF(World Economic Forum)의 글로벌 경쟁력 인덱스(Global Competitiveness Index 2017-2018)의 GDP대비 국가부채 순위를 포스팅함. 전체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정성적인 지표의 사용을 더하기에 높은 신뢰를 받을 수만은 없지만 국가부채는 그런 지표는 아님. 다만 일부 국가에서 정부의 부채를 숨기는 문제는 어쩔 수 없는 것.

국가부채의 수준이 낮은 국가들 중에서 상당수가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의존이 높은 나라들이지만 일부는 재정규율을 잘지키는 나라도 포함되어 있음.

반면 국가부채 수준이 높은 나라들 중 일부에서는 왜 늘게 되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아직도 진행 중이기도 한데 한국에서는 일부 언론에 의해 포퓰리즘으로 포장되었지만 그리 단순한 문제이면 얼마나 해결이 쉬울까?

아래 순위는 GDP대비 국가부채 수준이 낮은 국가를 높은 순위에 두고 있음.


1. 홍콩(GDP대비 정부부채 : 0.1%)

홍콩의 경우 실제 정부부채는 없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며 높은 외환보유고와 높은 1인당 국민소득을 보이고 있음. 아래 챠트를 보면 실제 발표되는 GDP대비 홍콩 정부부채 최근 10년 자료임. 차이를 볼 수 있는데 WEF가 이를 조정한 것으로 보임. 홍콩 정부는 충분한 저축(심지어 홍콩 정부는 세금을 걷지 않아도 버틸 수 있다고 함.)을 가지고 있는데 정부가 예산 흑자를 충분히 보고 있어도 정부채권을 금융시장에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공급해 주어야 하는 등 다양한 정부부채 발행 이유가 있음.


2. 부루나이(3.1%)

부루나이는 1984년 영국으로 부터 독립했고 가스와 원유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먹을 것뿐만 아니라 의료, 주택 등 복지도 아주 높은 수준에 있음.



3. 에스토니아(9.5%)

에스토니아는 다양한 경제정책 측면에서 동유럽 모범 국가처럼 분류되기도 하는데 시장의 결정력을 높인 국가이며 정부 재정 균형에도 높은 관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음. 세제로는 일률과세로 유명하며 최근 동유럽 국가 중 인구 노령화를 겪지 않는 국가로도 분류되었음. 이유는 다른 동유럽 국가들은 젊은이들이 일자리와 더 높은 소득을 찾아 자국을 떠나지만 에스토니아는 이렇게 떠나는 인구가 유입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라고 함.




4. 사우디아라비아(12.4%)

현재 원유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국가로 2015년 유가 급락으로 2014년 대비 2016년 국가부채는 619%늘어 3,165억 리알로 급증했음.



5. 보츠와나(13.9%)

예상 외의 국가가 등장했는데 왜 보츠와나 정부의 부채수준이 낮은지를 추정해보면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상당히 오랜 기간 보여왔던 것을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듯 보임.



6. 러시아(17%)

막대한 자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국가임. 가스와 원유의 막대한 매장량 뿐만 아니라 비금속 천연자원도 풍부한 국가임. 크림과 우크라이나와 관련해 서방국가들의 경제 제재는 러시아 수출에 날개를 달아주었는데 낮은 환율을 이용한 철강뿐만 아니라 생산량이 늘어난 밀도 미국 수출 시장을 잠식하고 있음. 그러나 당분간 국가부채가 늘어날 여지가 없지는 않은데 금융섹터에서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기 때문.



7. 쿠웨이트(18.6%)

쿠웨이트의 재정도 2015년 유가하락으로 타격을 받았음.





8. 나이지리아(18.6%)

나이지리아 정부도 2015년 유가하락에 따라 나이라의 약세를 방어하고 외환보유고를 지키고자 노력했었음. 정부 부채도 영향을 받았음.



9. 아랍에미레이트연합(19.3%)



10. 알제리(20.4%)

알제리 정부는 원유에 의존하고 있지만 외부 부채에 대해서 상당히 폐쇄적이기에 국가부채 수준이 낮다고 함.



11. 카자흐스탄(21.1%)

원유 매장량이 손에 꼽히는 국가로 상당히 많은 국영기업들이 인프라스트럭쳐를 담당하고 있고 철도 등 인프라스트럭쳐에 투자해야 하기에 점차 국가부채는 늘어날 것.


(중간에 있는 국가는 앞의 링크의 PDF를 참조)


121. 이집트(97.1%)

'아랍의 봄'으로 정치적, 경제적 혼돈을 겪었는데 지난해 11월 IMF로 부터 차입하기 위해 외환을 시장을 자유화했고 이 여파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불러왔음. 4월 이집트 중앙은행은 정부부채의 급증을 경고했고 정부의 예산적자는 앞으로도 관심을 둬야할 부분이 되고 있음.



122. 스페인(99.3%)





123. 모리타니(99.6%)

모리타니의 수출의 50% 가량을 철광석이 차지하고 있는데 철광석 가격의 하락이 최근 정부부채 급증과 관련되어 있다고 IMF는 보고 있음.



124. 벨기에(105.5%)

11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벨기에를 포함한 6개국을 지목해 유로존 재정 규제를 위반할 수 있다고 언급했음.



125. 미국(107.4%)



126. 키프로스(108%)

2013년, 2014년 유로존 위기로 구제금융(100억 유로)을 받은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 구제금융은 공공부채를 급증하게 했음.




127. 부탄(110.2%)

7월 월드뱅크는 부탄의 공공부채에 대해서 즉각적인 위기를 불러오지 않을 것이라고 부채지속성 분석에서 언급했지만 커지고 있는 부채에 대해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님.



128. 싱가포르(112%)

홍콩의 경우 정부 데이터를 WEF는 조정했는데 싱가포르의 경우 전혀 조정되지 않았음.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WEF가 그리 신뢰가 높지 않은 짓을 한 것. 싱가포르 정부의 자산이 적지는 않지만 이런 경우 때로는 자산의 만기 불일치가 문제되는 경우가 있음.



129. 자메이카(115.2%)

2조 자메이카 달러에 달하는 국가부채를 지고 있지만 GDP대비 국가부채 수준은 빠르게 하락하고 있고 신용등급도 향상되고 있는 중.




130. 모잠비크(115.2%)

모잠비크의 공공부채 규모는 올해 이미 큰 논란이 되었었음. IMF는 모잠비크에 대해 예산 지원을 철회했는데 공공부채를 숨겼다는 이유였음. 모잠비크 정부는 돈을 사용한 곳마져도 제대로 해명하지 못했었고 차관도 몰래 숨기고 있었던 것이 들통난 것.



131. 감비아(116.1%)

감비아의 국가부채는 심각한 상태인데 정부 예산 수입의 절반정도가 원리금을 상환하는데 사용되고 있음.




132. 포르투갈(130.3%)



133. 이탈리아(132.6%)



134. 카보베르데(133.8%)

이 섬나라는 유로존에 대한 의존이 크기 때문에 경제가 지난 몇년간 계속 악화되었는데 IMF는 증가하는 부채와 약한 경제성장으로 채무관련 리스크는 증가하고 있다고 2016년 언급한 적이 있다고 함.




135. 레바논(143.4%)

레바논의 공공부채는 이제 경제성장을 낮추는 주요 원인이라고 함.



136. 그리스(181.3%)



137. 일본(239.2%)


일본의 국가부채 문제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고 국가채무를 대부분 일본인들이 들고 있기에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는 설명이 항상 따라 다니는 것. 그러나 그건 대외차입을 거론할 때의 문제이고 경제적 불평등을 국가부채라는 도구로 키우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자율의 기간구조와 위험구조 :

이자율이 모든 채권에 대해 같게 책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왜 그렇게 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할 경우 조금의 분류가 필요해짐. 즉, 만기가 같은 채권의 이자율이 다른 이유와 만기가 다른 채권의 이자율이 다른 이유를 보고자 하는 것임. 물론 위험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하면 각각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지 않아도 간단히는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만들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만들수도 없겠지만) 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이론들을 먼저 살펴 보는 것으로 함. 이자율의 위험구조(Risk Structure of Interest Rate) 만기가 같은 각각의 채권 이자율들이 다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할때 이들 이자율간의 관계를 이자율의 위험구조라고 하는데 이를 일단 회사채간의 이자율 차이로 보면 Aaa와 Baa 신용등급간의 이자율이 다름을 알 수 있음. 이것이 이야기 해주는 것으로 부터 채무불이행 위험(Default risk)가 이자율의 위험구조를 설명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채권의 발행자가 약속한 때에 이자를 지불할 수 없거나 지불할 의사가 없을 때 그리고 채권만기에 원금(액면)을 지불하지 못하거나 지불할 의사가 없을 때를 채무불이행(Default)라고 함. 위 챠트에서 보면 낮은 신용등급의 회사채(Baa)가 회색으로 칠해진 기간 높은 등급의 회사채(Aaa)보다 급격히 수익률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로 인해 두채권간의 스프레드(이자율간의 차이, 위험 프리미엄, risk premium)는 급격히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음.(적정한 회사채 데이터를 가져 올 수 없어 위 챠트를 가져 온 것임. 만기까지 보여주면 좋은데...) 최근 미국 국채와 미국 지방채 10년물(블룸버그 데이터에서 가져옴.)로 적용해 보면 다음 차트와 같음. 미국 재무부 채권과 지방정부 채권(Municipal bond)의 만기가 같은데 반해 이자율이 역시 다름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미국 정부가 디폴트할 가능성이 아주 낮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홍콩 통화청 금리 인상(2018년 3월)과 홍콩 달러

3월 22일 미국 연준은 금리를 25베이시스 포인트 올렸는데 이에 따라 홍콩통화청도 기준금리(Base rate)를 같은 폭으로 금리를 조정해 2%까지 끌어 올렸음. 홍콩통화청의 2% 기준금리는 2008년 10월 이래 가장 높은 수준임. 홍콩통화청은 환율을 페그하고 있어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것을 그대로 따라 왔지만 시장에서는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 홍콩 은행들이 들고 있는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음.  이는 홍콩 달러 약세의 이유로 설명되고 있는데 홍콩의 은행간 금리가 오르지 못하고 있기에 투기자들이 홍콩달러의 약세에 배팅을 하고 있다는 것. 22일 오전 홍콩달러의 미국달러와의 환율(USDHKD)은 7.847홍콩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하는데 7.75홍콩달러~7.85홍콩달러의 트레이딩 밴드 상단에 거의 도달해 있는 상황임.(이 밴드 상단에 도달하면 홍콩통화청이 환율에 대한 페그를 포기하지 않는 한 시장개입을 개시할 가능성은 아주 커지게 됨. 물론 그 이전 언제라도 개입하지 말라는 법은 없음.) 홍콩 은행들에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것은 외환의 유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환의 약세가 나타나는 특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홍콩의 외환보유고가 높은 상태에서 홍콩당국이 통화 페그를 포기하지 않는 한 트레이딩 밴드를 돌파할 가능성은 없기에 시장개입 가능성과 금리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고 있는 듯 보임.

State and Local Government Series(SLGS)

State and Local Government Series(AKA SLGS)란? 재무부 증권인 State and Local Government Series(AKA SLGS)는 특적 목적 증권으로 미국 재무부가 주 또는 지방정부 기관의 요청에 따라 그들에게 발행하는 것. 이를 통해 연방 세법을 준수하도록 하고 미국세청의 아비트리지 규제를 따르게 함.(비과세 증권을 원천으로 한 투자금지를 회피하는 것.) 재무부는 SLGS를 발행하는데 법적 또는 규제적인 제한은 없음. 따라서 미재무부가 SLGS의 판매를 연장하는 것은 부채 상한에 다다랐다는 것을 의미함.(부채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연장하는 것. 즉, 시간을 벌기 위해...) SLGS는 두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Time deposit SLGS(정기예금 SLGS)는 투자자에의해 설정된 기간으로 발행되는 것. 부채증서(Certificates of Indebtedness, C of I's)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기간은 15일에서 1년임. 또 노트(Notes)의 형태로는 1-10년, 그리고 채권(Bonds)의 형태로는 10-30년의 기간을 가질 수 있음. 이자를 지니고 있는 경우 반기마다 지급됨. 다른 한가지 형태는 요구불예금 SLGS로 1일물 부채증서임. 그리고 자동적으로 이자를 받으면서 롤-오버 됨. SLGS의 목적 자체가 주와 지방정부의 투자 목적이기 때문에 SLGS를 사들일 수 있는 이들은 미국 연방조세법(IRC)의 103절에 설명된 주 또는 지방정부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이들임. 미 의회는 연방정부가 차입할 수 있는 한계(부채 상한)를 정해 놓았는데 과거 부채 상한 문제가 불거진 상태에서 새로은 SLGS 판매가 연기되었음. 재무부의 과거 관행에 따라 요구불예금 증권은 90일간 롤-오버되었음. SLGS 윈도우를 닫는다고 표현되는 SLGS 연기(Suspension)은 재무부가 더 이상 새로운 정기 그리고 요구불 예금 SLGS 증권에 대한 돈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