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17년 미국 소매기업의 파산 규모 순위


2017년 동안 미국 소매기업들에게는 재앙이라는 말이 따라 다녔는데 30개 이상의 브랜드 소매기업(리테일러)들이 파산신청을 했고 일부는 완전 정리과정을 밟았거나 밟고 있고 페이리스 슈 소스, 라이오쉑, 토이저러스 같은 일부는 살아남기 위해 노력 중에 있음.

소매기업들이 곤란한 상황에 닥친 것을 '소매재앙'이라고 2017년초부터 일부에서는 불리기도 했는데 파산을 피한 상당수 기업들도 미국 전역에서 수백개의 점포를 폐쇄하면서 비용절감과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을 강화했음. 시어스, 메이시즈, JC페니 같은 대형 백화점들도 총 500개 이상의 점포를 폐쇄했고 이들 기업들의 점포가 고객을 유인하는 키 점포이기에 이 영향으로 쇼핑몰 등의 영업이 크게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추측도 돌았고 실제 문을 닫는 몰들도 속출했음.

리테일러들이 무너지면서 CMBS(Commercial mortgage-backed security)의 채권도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보이기도 했음. 2017년 파산 보호 신청한 리테일러 중 10억 달러 이상CMBS의 채권과 관련된 리테일러는 7개사라고 함.

True Religion, BCBG Max Azria, Aerosoles 등은 다소 높은 수준의 브랜드 이지만 규모는 작은 편임.

10대 의류 체인인 Rue21은 5월 1,218개의 전국 점포 중 400개의 점포를 폐쇄하면서 파산보호 신청을 했는데 9월 758개의 점포를 가지고 일단 파산에서 벗어났다고 함. CMBS 증권에 담긴 대출은 17억 달러의 규모였음.

가정용 기기 리테일러인 HHGregg는 4년 연속 매출이 줄고 있던 중 파산보호를 신청했는데 파산법원에서 매수자를 찾지 못해 220개의 점포를 폐쇄했음. 42개의 CMBS 대출과 관련된 기업임. 18억 달러의 채권이 관련되어 있었다고 함.


라디오쉑(RadioShack)은 3월 파산보호를 2차로 신청했고 이후 몇개월 동안 1,000개의 점포를 폐쇄했고 70개의 점포만 남겼음. 상업부동산모기지 관련 부채 규모는 24억 달러였다고 함.

페이리스 슈 소스(Payless Shoe Source)는 4월 파산보호를 신청했으며 8월 챕터 11에서 빠져나왔음. 그 사이 페이리스 슈 소스는 700개 정도의 점포를 닫았고 2,700개 이상의 점포를 아직 운영 중에 있음. 상업부동산모기지 관련 부채 규모는 39억 달러였다고 함.

짐보리(Gymboree)는 아동복 기업으로 6월 파산보호를 신청했으며 1,281개의 점포 중 450개를 닫을 예정이고 75개의 CMBS 대출이 관련되어 있다고 함. CMBS관련 규모는 54억 달러였다고 함.

토이저러스(Toy"R"Us)는 연말 홀리데이 시즌을 앞두고 채무 구조 재조정을 위해 9월 파산보호 신청을 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885개의 점포를 계속 운영할 예정. CMBS에 대한 노출도 상당히 큰 기업이고 차입매수로 인한 부채가 기업의 생존을 위협한 사례이기도 함. CMBS 증권에 담긴 채권과 관련된 채무는 56억 달러였다고 함.

오하이오의 여성의류에 특화된 의류 기업 리미티드(The Limited)는 1월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250개의 점포 모두를 폐쇄했었음. 이후 사모펀드인 Sycamore Partners에 팔렸고 10월 온라인으로 다시 돌아왔음. 147억 달러라는 막대한 금액의 CMBS 채권과 관련되어 있음. 이 규모는 토이저러스의 두배가 넘는 규모임.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자율의 기간구조와 위험구조 :

이자율이 모든 채권에 대해 같게 책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왜 그렇게 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할 경우 조금의 분류가 필요해짐. 즉, 만기가 같은 채권의 이자율이 다른 이유와 만기가 다른 채권의 이자율이 다른 이유를 보고자 하는 것임. 물론 위험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하면 각각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지 않아도 간단히는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만들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만들수도 없겠지만) 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이론들을 먼저 살펴 보는 것으로 함. 이자율의 위험구조(Risk Structure of Interest Rate) 만기가 같은 각각의 채권 이자율들이 다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할때 이들 이자율간의 관계를 이자율의 위험구조라고 하는데 이를 일단 회사채간의 이자율 차이로 보면 Aaa와 Baa 신용등급간의 이자율이 다름을 알 수 있음. 이것이 이야기 해주는 것으로 부터 채무불이행 위험(Default risk)가 이자율의 위험구조를 설명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채권의 발행자가 약속한 때에 이자를 지불할 수 없거나 지불할 의사가 없을 때 그리고 채권만기에 원금(액면)을 지불하지 못하거나 지불할 의사가 없을 때를 채무불이행(Default)라고 함. 위 챠트에서 보면 낮은 신용등급의 회사채(Baa)가 회색으로 칠해진 기간 높은 등급의 회사채(Aaa)보다 급격히 수익률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로 인해 두채권간의 스프레드(이자율간의 차이, 위험 프리미엄, risk premium)는 급격히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음.(적정한 회사채 데이터를 가져 올 수 없어 위 챠트를 가져 온 것임. 만기까지 보여주면 좋은데...) 최근 미국 국채와 미국 지방채 10년물(블룸버그 데이터에서 가져옴.)로 적용해 보면 다음 차트와 같음. 미국 재무부 채권과 지방정부 채권(Municipal bond)의 만기가 같은데 반해 이자율이 역시 다름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미국 정부가 디폴트할 가능성이 아주 낮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홍콩 통화청 금리 인상(2018년 3월)과 홍콩 달러

3월 22일 미국 연준은 금리를 25베이시스 포인트 올렸는데 이에 따라 홍콩통화청도 기준금리(Base rate)를 같은 폭으로 금리를 조정해 2%까지 끌어 올렸음. 홍콩통화청의 2% 기준금리는 2008년 10월 이래 가장 높은 수준임. 홍콩통화청은 환율을 페그하고 있어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것을 그대로 따라 왔지만 시장에서는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 홍콩 은행들이 들고 있는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음.  이는 홍콩 달러 약세의 이유로 설명되고 있는데 홍콩의 은행간 금리가 오르지 못하고 있기에 투기자들이 홍콩달러의 약세에 배팅을 하고 있다는 것. 22일 오전 홍콩달러의 미국달러와의 환율(USDHKD)은 7.847홍콩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하는데 7.75홍콩달러~7.85홍콩달러의 트레이딩 밴드 상단에 거의 도달해 있는 상황임.(이 밴드 상단에 도달하면 홍콩통화청이 환율에 대한 페그를 포기하지 않는 한 시장개입을 개시할 가능성은 아주 커지게 됨. 물론 그 이전 언제라도 개입하지 말라는 법은 없음.) 홍콩 은행들에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것은 외환의 유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환의 약세가 나타나는 특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홍콩의 외환보유고가 높은 상태에서 홍콩당국이 통화 페그를 포기하지 않는 한 트레이딩 밴드를 돌파할 가능성은 없기에 시장개입 가능성과 금리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고 있는 듯 보임.

State and Local Government Series(SLGS)

State and Local Government Series(AKA SLGS)란? 재무부 증권인 State and Local Government Series(AKA SLGS)는 특적 목적 증권으로 미국 재무부가 주 또는 지방정부 기관의 요청에 따라 그들에게 발행하는 것. 이를 통해 연방 세법을 준수하도록 하고 미국세청의 아비트리지 규제를 따르게 함.(비과세 증권을 원천으로 한 투자금지를 회피하는 것.) 재무부는 SLGS를 발행하는데 법적 또는 규제적인 제한은 없음. 따라서 미재무부가 SLGS의 판매를 연장하는 것은 부채 상한에 다다랐다는 것을 의미함.(부채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연장하는 것. 즉, 시간을 벌기 위해...) SLGS는 두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Time deposit SLGS(정기예금 SLGS)는 투자자에의해 설정된 기간으로 발행되는 것. 부채증서(Certificates of Indebtedness, C of I's)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기간은 15일에서 1년임. 또 노트(Notes)의 형태로는 1-10년, 그리고 채권(Bonds)의 형태로는 10-30년의 기간을 가질 수 있음. 이자를 지니고 있는 경우 반기마다 지급됨. 다른 한가지 형태는 요구불예금 SLGS로 1일물 부채증서임. 그리고 자동적으로 이자를 받으면서 롤-오버 됨. SLGS의 목적 자체가 주와 지방정부의 투자 목적이기 때문에 SLGS를 사들일 수 있는 이들은 미국 연방조세법(IRC)의 103절에 설명된 주 또는 지방정부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이들임. 미 의회는 연방정부가 차입할 수 있는 한계(부채 상한)를 정해 놓았는데 과거 부채 상한 문제가 불거진 상태에서 새로은 SLGS 판매가 연기되었음. 재무부의 과거 관행에 따라 요구불예금 증권은 90일간 롤-오버되었음. SLGS 윈도우를 닫는다고 표현되는 SLGS 연기(Suspension)은 재무부가 더 이상 새로운 정기 그리고 요구불 예금 SLGS 증권에 대한 돈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