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중앙은행(Bank of Canada)는 2017년 7월 이후 3번째로 1월 17일(캐나다 시간) 금리를 25베이시스 포인트 인상하면서 NAFTA와 같은 불확실한 중요한 것(important unknowns)이 있다며 적극적으로 이자율을 서둘러 올릴 필요가 없음을 내비쳤다고 함. 최근의 경제붐이 중앙은행의 추가적이고 조속한 금리인상을 불러올 것이라는 기대를 잠재우기 위해 노력했다고 평이 따라 붙었고 경제가 과열되거나 인플레이션이 목표 이상으로 오를 것이라는 우려를 그리 높게 보고 있지 않다는 의견이 붙어 있다고 함. (아래 챠트는 캐나다 중앙은행의 벤치마크 이자율, 1.25%)
2017년 7월과 9월 캐나다 중앙은행은 두번의 금리 인상을 단행했으며 나머지 기간 동안 금리를 조정하지는 않았지만 강한 경제 성장과 고용시장을 배경으로 원하지 않는 과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금리를 정상 수준으로 점차적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 노력해 왔었음. 그러나 이번에는 불확실성을 들고 나온 것이 이전과의 태도에서 차이로 보임.
지난 1월 5일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캐나다 실업률은 5.7%로 이는 현재 실업률 데이터가 발표되기 시작한 1976년 이래 최저 수준이며 2017년 캐나다 경제가 추가한 일자리도 422,500개로 2002년 이래 최고 수준이었음. 뿐만 아니라 같은 날 발표된 11월 수출 데이터도 3.7% 증가를 보임으로써 오랜 슬럼프에 종지부를 찍는 모습으로 나타났음.
향후 전망을 내다 보면서 캐나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이 이미 목표에 근접했다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 주택시장, 노동시장 등 각 방면에서 경제 전망르 장미빛을 색칠해 두었음. 2017년의 좋은 경제 데이터를 넘어서 다소 과열될 수도 있다는 입장이 표명되기도 했으나 성명서에서는 이후 조심스러운 행보 등 비둘기파적인 내용을 반복했고 캐나다 경제가 지속적인 부양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고 함. 즉 경제 전망이 향후 더 높은 이자율의 근거가 될 수 있지만 경제가 잠재적 수준에서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목표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수용적 통화정책(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음.
이런 비둘기파적인 배경에 부채문제와 NAFTA협상, 임금 성장이 기대에 못미치는 것 등이 이유로 내세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캐나다의 가계 부채 수준은 상당히 높은 편인데 금리 인상에 대한 경제의 민감한 반응을 우려 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고 실업률이 지난 40년 최저로 떨어진 상황에서 임금의 성장이 그리 인플레이션보다 높지 않은데 이에 대해 미국과 같이 노동시장에서의 'slack'을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고 지속적인 부양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따르고 있음.
캐나다 중앙은행은 다음주 몬트리올에서 재개되는 NAFTA에 대한 논의가 실패할 수 있다는 리스크도 언급하고 있고 NAFTA의 미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경제 전망을 미궁으로 몰아 넣을 수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는데 이 무역협정이 그대로 남는다 하더라도 우려로 인한 수출과 기업 투자에 타격을 가할 수 있음도 언급했다고 함.
또 금리를 너무 빠르게 올리는 것이 경제 확장을 멈추게 할 수도 있고 인플레이션이 목표 아래로 내려가게 할 수 있다는 입장도 내놓았다고 함.
시장은 캐나다 중아은행이 앞으로 두번 더 금리를 인상해 1.75%까질 올릴 것으로 보고 있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