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5월, 2018의 게시물 표시

2018년 1분기 IMF 데이터 상의 외환보유고

외환보유고를 쌓는 이유는? 1. 외환보유고는 한 국가가 자국의 통화를 특정 가치로 유지하게끔 해줌.(환율을 페그의 경우 더욱 그러함.) 2. 변동환율을 채용하고 있는 국가들은 외환 또는 외환자산을 사들이면서 외환보유고를 늘리고 자국 통화의 가치를 절하시키기도 함. 3. 외환보유고는 중앙은행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를 보호할 행동을 취할 능력을 보유했다는 의미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제공할 수 있음. 4. 외환보유고는 대외부채에 대한 추가적인 보험이 됨. 5. 외환보유고는 정부의 펀딩에 사용될 수 있음. 6. 외환보유고는 중앙은행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다양성을 제공함. 하우머치닷넷 은 가장 최근 IMF 데이터(일부는 2017년 데이터라고 함.)로 세계 각국의 외환보유고를 그래픽화 했음. 미국의 국가부채는 21조 달러 정도이며 최대 외환보유고를 갖는 나라는 누구나 알고 있듯이 중국임. 위의 그림에서도 볼 수 있는데 대만이 빠져 있음. 따라서 아래 챠트에서는 대만을 별도로 넣어 하우머치닷넷의 외환보유고 탑10 국가를 11개국으로 정리했음.(단위는 10억 달러임.) 그리고 각국 중앙은행이 외환보유고에 들고 있는 통화 또는 통화자산의 비중은 다음과 같음.(단위 %)

터키 중앙은행 금리 인상 : 통화정책 툴 변경

터키의 리라가 절하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아 왔는데 해외에서 금리가 오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던 반면 과도한 외국으로 부터의 차입에 따른 부채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방어할 경상수지는 적자를 유지해 왔었기 때문이기도 하며 정부가 정치적 인기를 달성하고자 경제를 계속 부양해 온 반면 중앙은행은 정치적 압력으로 과열된 경제(인플레이션)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못한 것도 원인.(아래 챠트는 터키 리라(USDTRY)와 터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과 터키 리라의 방향서이 최근 다소 관련성이 약해 보이는데 리라의 약세가 다시 인플레이션을 불러 올 수도 있기에 예단하기는 너무 이른 측면이 있으나 최근 리라의 약세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서둘러 빠져나갔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도 있어 보임.(미국 정부채권이 상당히 매력적이어졌음.) 어쨌든 이런 상황은 터키 리라자산이 가격 측면에서 매력을 발산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터키는 부채가 과도하고 이를 갚을 능력은 부족한 편임. 따라서 터키 주변의 중동국가들의 국영펀드에게나 매력적인 것일 수도 있음. 위의 터키 리라 챠트를 보면 최근 하락세(절하)가 크게 가팔라졌는데 이는 선거를 앞두고 있는 터키 대통령 에르도안에게도 중대한 도전이 되었던 것으로 보임. 결국 그렇게 반대하던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음. 지난 5월 24일 터키 중앙은행은 다른 통화정책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금리를 동결한 채 Late Liquidity Window금리를 13.50%에서 16.50%로 올렸음. 이는 외환시장에서 즉각적으로 터키 리라 약세 중지로 나타났었음. 그러나 이 효과가 단기적일 수 있는 장면은 이미 여러번 목격되었음. 2017년 1월 터키 리라 약세가 나타나자 터키 중앙은행은 기존 주된 창구였던 1Week Repo를 그냥 사용하지 않고 이 창구를 사용하기로 하면서 금리를 올렸었음. 달러의 약세가 나타나면서 터키 리라의 약세는 멈춰섰는데 이내 다시 리라의 약세가 나왔고 터키 ...

달러 절상에 따른 리스크가 큰 국가 : 피치

피치는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이 달러가 지속적으로 절상하면서 신용 리스크에 인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분류했음. 피치는 우크라이나를 가장 위혐이 큰 국가라고 보았는데 소버린, 은행, 비금융기업의 부채 모두에서 미국의 달러에 대한 높은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음. 최근 나타나는 현상과 같은 미국 달러의 절상과 금리 인상은 차입국의 통화가 절하하면서 원금과 이자 모두에서 상환해야 할 금액이 자국 통화대비 급증하게 되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 아래 표에서와 같이 우크라이나의 은행들의 부실채권은 약 57%정도로 무척 은행들이 약한 상태이고 국가부채의 상환은 내년부터 재개된다고 함. 이 내용은 Business Insider " The countries most at risk from the surging US dollar "에서 가져 온 것임.